반응형 대학원8 [대학원] '감사의 글' 쓰는 방법 2페이지 정도 썼는데 더 쓰는 사람은 5페이지 씩 쓰기도 한다 만약 쓴다면 지도교수님, 심사해주신 다른 교수님은 필수로 넣어야 하고 연구실 동기들이랑 친구들, 가족을 주로 넣는다. 말투는 '합니다'체로 썼고 전하는 내용은 편지와 비슷하다 가벼운 인사, 감사의 말, 공유했던 경험 등을 썼다 이미지 검색으로 '감사의 글'이라고 쓰면 감사의 글을 올려주신 분들이 있는데 글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1. 감성적인 서론 2. 이러이러해서 지도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내용 3. 이러이러해서 심사위원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내용 4. 이러이러해서 A께 감사하다는 내용 5. 이러이러해서 B께 감사하다는 내용 ... 9. 이러이러해서 M께 감사하다는 내용 10. 앞으로의 포부/감사의 글 요약/연구실에 대한 바람 등 마무리 YYY.. 2022. 7. 17. 연구실 구매관리할 때 만든 엑셀파일 실험실 시약이나 장비 구매할 때나 분석비 지출할 때 예산관리가 잘 안 돼서 만들었던 엑셀 파일이에요 원드라이브나 팀즈나 구글 docs 같은 프로그램에 공유해서 각자 사고 싶은 물품 정확히 적어주면 관리자가 감독하고 주문하는 식으로 사용했어요 요즘은 연구실 관련 앱도 나오고 편리해진 것 같은데 이런 아날로그도 도움이 될까 싶어 공유합니다 제가 연구실에서 일할 때는 시약 재고 관리는 매번 개수가 바뀌다 보니 일 년에 한두 번만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전수 점검하고 폐시약 로그 시트를 담당하는 친구가 폐시약병 몇 개 나왔다고 하면 그때마다 주문하고 소모품도 연구실 동료들이 부족할 것 같다고 말하면 그 때 주문하는 식으로 했어요 모든 연구생 파이팅 2022. 6. 14. [대학원] 신생연구실 후기 처음엔 연구실이 없다 연구실을 구해도 그 안에 아무것도 없다 처음에 인건비가 없을 수 있다 교수님께 잘 말씀드리면 하고 싶었던 실험 가능 하지만 종종 하기 싫은 실험도 해야 함 그래도 늦게 들어간 사람보다는 실험 선택권이 있다 워킹 덱, 시약 장부터 구매한다 구매는 내가 한다 실험설계는 교수님께서 도와주신다 초자, 시약도 MSDS 찾아보며 구매한다 사수가 없다 대신 교수님께 직접 배워서 좋다 나에 의해 연구실 분위기가 정해진다 필요에 의해 연구실 규칙을 만들게 된다 잡무도 역할분담을 하는 게 좋다 역할 분담이 안 되면 하는 사람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역할과 책임은 어느 정도 명확한 것이 좋을 것이다 안전에 관한 규칙을 모르겠다면 학교 안전관리팀이 뿌리는 교육자료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다.. 2022. 4. 26. [대학원] 논문 투고 과정 (간략) 투고는 교수님이 해주실 것이다 논문을 투고하면 reject 되거나 transfer 되거나 accept 된다 논문 상황은 출판사에서 오는 메일에 있는 링크인 editorial manager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투고하고 일주일 안에 메일이 오면 보통 reject이었다 그럼 다른 저널을 타겟팅하고 서식을 모두 변경해서 다시 투고한다 서식 변경은 빠르면 하루, 느리면 일주일 정도 걸렸다 다른 저널에 transfer 하는 것을 추천받았다면 그대로 다른 저널에 다시 투고할 수 있다 한 달 이상 메일이 안 오면 에디터에서 리뷰어 단계로 넘어가고 accept 확률이 좀 더 높아진 것으로 본다 리뷰어에게서 보완점을 요구하는 revision 이 오기를 기다린다 revision 메일을 확인한다 지적사항이 많을 수도,.. 2022. 4. 26. [대학원] 논문 작성 과정 실험 설계부터 시작한다 선행연구를 조사한다 기존 논문보다 어떻게 독창적이게 쓸까 성능을 높여볼까 새로운 실험방법을 시도할까 새로운 특성을 부여할까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인트로를 구상한다 연구를 시작하는 이유는 누구나 설득당할 만큼 논리적이어야 한다 넓은 연구범위에서 나만의 아이디어를 점점 구체화시킨다 이 연구는 무엇에 관한 것인가 이 분야는 어떤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나 선행연구에서는 어떤 연구결과를 얻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그래서 어떤 목표를 이루려고 하는 연구인가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소재를 사용할 것인가 소재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22. 4. 25. [대학원] 논문 검색 및 읽는 방법 대학원에 들어가서 처음으로 논문이라는 것을 접한다 모두 영어다 난 할 수 있다 80%의 주요 단어는 모르겠다 파파고를 쓴다 파파고 해석이 좋긴 한데 완벽하지는 않다 생각보다 내용이 긴데 중요한 내용이 뭔지 모르겠다 무조건 다 외우려고 해본다 일주일 동안 1개도 읽지 못했다 논문은 어디서 찾는 거지 돈내라는데 논문은 어떻게 보는 거지 구글 스칼라를 켠다 학교 와이파이가 되면 web of science, scopus 를 켠다 학교 도서관을 통해서 들어갈수도 있다 난 스코푸스가 좋더라 지도교수님 논문이 많이 게재된 저널과 출판사 홈페이지를 켠다 키워드로 상세검색한다 특정 주제를 찾는다면 그 주제에 대해 논문을 많이 쓰시는 교수님을 찾고 그 분의 논문을 보는 것도 좋다 논문이 게재된 사이트에 들어가서 open .. 2022. 4. 25. [대학원] 석사 졸업논문 발표 준비 순서 (논문심사 혹은 디펜스) 석사 졸업논문 발표를 위해 준비했던 과정이다 대학마다 비슷할 거라고 생각한다 졸업논문 심사를 디펜스라고도 한다 심사위원 교수님들의 날카로운 질문을 defense 할 수 있는 답변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졸업논문 심사 진행 기간과 졸업논문 심사 진행과정이 공지된다 공지를 자주 확인하며 데드라인 안에 모든 요구조건을 빠뜨리지 않고 완수한다 이미 졸업논문은 국문이나 영문으로 작성이 마무리되어가고 있어야 한다 어려우면 riss 사이트에서 본인 대학의 석사 학위논문을 검색해 참고한다 심사기간 중 원하는 심사일을 마음속으로 정하고 미리 지도교수님과도 상의해서 다른 심사위원 교수님들은 어떤 분을 섭외할지 정한다 다들 보니까 눈치껏 들어오신 지 얼마 안 된 교수님들을 주로 심사위원으로 위촉하는 것 같다 원하는 심사일로.. 2022. 4. 25. [대학원] 공대 대학원 석사과정 후기 개요 대학원 총평 연구실 소개 근무환경 일과 실험 구매관리 대학원 가기 전에 검색해보고 가면 좋겠는 것 논문 스터디 발표할 때 배운 점 연구실에서 배울 수 있는 것 대학원 생활이 끝난 후 생각 대학원 총평 인생에서 가장 많이 배울 수 있었던 2년의 시간 한 번 더 하지는 못하겠다 성실하긴한데 박사할만큼 똑똑하지는 않은 것 같다 기간 학부 졸업 후 2년. 졸업논문 통과 못하거나 학점 못 채웠거나 어학이나 SCI 논문 게재 등 기타 졸업요건 충족 못하면 학기 연장 연구 등록하면 됨. 연구 등록: 등록금 안 내고 수업 안 듣고 연구등록비만 10~20만 원 정도 내고 연구만 함 조건 일찍 충족하면 반년 일찍 조기졸업 가능. 연구실 소개 인원 약 10명 근무환경 월 120~180 만원 (등록금, 생활비 포함) 8.. 2022. 4.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