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살~29살/일상노하우 기록

[대학원] 공대 대학원 석사과정 후기

by 스폰지밥이 되고 싶은 징징이 2022. 4. 12.
반응형

 

개요

대학원 총평
연구실 소개
근무환경
일과
실험
구매관리
대학원 가기 전에 검색해보고 가면 좋겠는 것
논문 스터디 발표할 때 배운 점
연구실에서 배울 수 있는 것
대학원 생활이 끝난 후 생각

대학원 총평

인생에서 가장 많이 배울 수 있었던 2년의 시간
한 번 더 하지는 못하겠다
성실하긴한데 박사할만큼 똑똑하지는 않은 것 같다

기간

학부 졸업 후 2년.
졸업논문 통과 못하거나 학점 못 채웠거나 어학이나 SCI 논문 게재 등 기타 졸업요건 충족 못하면 학기 연장
연구 등록하면 됨.
연구 등록: 등록금 안 내고 수업 안 듣고 연구등록비만 10~20만 원 정도 내고 연구만 함
조건 일찍 충족하면 반년 일찍 조기졸업 가능.

연구실 소개

인원 약 10명

근무환경

월 120~180 만원 (등록금, 생활비 포함)
8시간 + 필요시 추가 근무 (주말 또는 야근, 프로젝트마다 상이)

반응형

일과

실험 계획
청소
행정처리
실험
행정처리
분석
수업 듣기
실험
잡담
조교 채점
실험
논문 조사
피피티 작성
분석
논문 작성
보고서 작성
랩 미팅
피드백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반복

실험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
연구실 내부 프로젝트 + 국책/사업체 프로젝트

구매관리

교수님께 가서 총예산을 알아본다
소모품, 분석비, 활동비 등 다르게 책정되어있을 것이다
그 안에서 쓰도록 한다
거래명세서, 전자세금계산서, 영수증을 받는다
카드로 할 수도 있고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받아서 결제할 수도 있다
구매 대행을 부탁하면 편하다
대한과학 등에 구매 물품 말씀드리면 대신 구매해주시고 한 달에 한 번 한 번에 결제처리 도와주신다
올포랩, 대한과학, 삼전, 시그마, 오픈마켓 등에서 구매한다
엑셀로 관리하면 편하다
요즘엔 재고관리 어플도 있는 것 같더라

대학원 가기 전에 검색해보고 가면 좋겠는 것 (나무 위키 읽어보고 들어가기)

SCIE - 수준 괜찮은 학술지 목록
IF - 얼마나 인용이 많이 되고 논문이 얼마나 실리는 저널인지 나타낸 숫자
Q1, Q2, Q3, Q4 - IF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뒤 4분할한 논문의 위치
H index - 개별 연구자마다의 역량을 숫자로 나타낸 것
JCR - 저널에 대한 정보 요약 보고서

종종 JCR 보려고 사용하는 사이트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 (scimagojr.com)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

Scimago Graphica Scimago Graphica is a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ol that allows you to build powerful charts using an easy to use no-code interface. Get Graphica for free

www.scimagojr.com

Clarivate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

Scimago Graphica Scimago Graphica is a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ol that allows you to build powerful charts using an easy to use no-code interface. Get Graphica for free

www.scimagojr.com


저널은 요즘에는 SCI, SCIE가 통합되어 SCIE 만 있다고 한다
SCIE 저널 검색하면 리스트가 뜰 텐데 구글 스칼라 검색해서 나오는 논문은 보통 SCIE 더라
그 분야 내에서 저널의 IF 가 중요하다
매년마다 바뀌고 6월쯤 나온다
매년 내려갈 수도 올라갈 수도 있다
신생 저널이면 생긴 후 1년 뒤쯤이면 IF 가 나온다고 한다
분야마다 IF 차이가 커서 다른 분야를 IF로 평가하긴 어려운 것 같고 같은 분야 내에서 IF 가 중요한 것 같다
본인은 관심 있는 저널 리스트업하고 IF 별로 정렬해놓고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투고했었다

논문 스터디 발표할 때 배운 점

본인 연구실의 연구주제와 관련이 있는가?
또는 실험방법 면에서 본인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가?
또는 아이디어 면에서 본인의 연구에 영감을 주는가?
멋있는 피피티 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논문의 내용
최대한 꼼꼼히 읽고 모든 내용 숙지
본인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논문의 독창성, 논리, 구성에 파악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응용분야, 응용 가능성, 의의 강조
대본 들고 발표 금지
대본 읽으면서 발표 금지
인트로 소개 아주 중요, 결론 페이지 꼭 넣기
발표의 마지막을 알려주기 (이상으로 발표 마칩니다 등)

연구실에서 배울 수 있는 것

계획
목표의식
시간관리
자기 계발
학구열
알아서 하는 법
검색 방법
실험 노하우
설계
설득
논리
발표
책임감
희생
소통
의견 피력의 중요성
포장의 중요성
자기 PR의 중요성
다양한 성격의 이해
다양한 갈등 상황 경험
호구 잡히지 않는 법

대학원 생활이 끝난 후 심심하게 드는 생각

실험 방법, 실패한 경험, 문제를 해결한 경험 등 모든 경험을 기록한 것이 취업에 큰 도움이 된다
사용한 장비 원리, 소재 특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놓았다면 면접 볼 때 도움이 많이 되었을 텐데.
논문은 처음 내가 원했던 것처럼 된 적이 별로 없다
논문은 내 말을 안 들어
논문은 한 개만 내려고 해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겨우 이런 결과를 내려고 이 고생을 했단말인가
라고 종종 생각은 하지만 배운 것이 많다
실제로 20년간 배울 것을 2년에 몰아붙여 배운 것 같다
누구에게나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진다
배우고자 하면 정말 많이 배운다
좀 더 의견에 확신을 가지고 밀어붙여봤어도 재밌었겠다

 

반응형

댓글